안녕하세요, 시간상 미팅에서 말씀은 못드렸지만, 1년간 챗봇 서비스를 위한 유저 리서치부터 테스트까지 참가하며 향후 방향성을 위해 든 개인적인 생각을 공유드리고 싶습니다.

챗gpt의 부상을 보면 ‘정보의 검색과 활용’에 있어서는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것이 필수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 물론 출처와 신뢰도 문제 등으로 인해 의학적 정보를 어디까지 용인할지는 모르겠지만, 큰 흐름 자체는 분명 그렇게 가고 있는 것 같아 보입니다.

이런 상황에서 결핵챗봇 서비스가 차별화 될 수 있는건 세화님이 말씀해주신 것처럼 ***‘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(user-centered /personalized)’***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 ‘환자 개인에게 친화적인 서비스’가 될 때에 서비스 이탈률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입니다. 실제로 디지털 헬스 서비스들이 ‘환자 이탈률이 크다는 이슈가 있다’는 발표를 보았거든요.

환지 이탈률 최소화를 위한 첫번째 이슈 : 복약 기록을 편리하게 하기

승범이 지적해준 것처럼, 사실 ‘테스트’라는 강제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유저는 복약 기록을 그렇게 자주 하지는 않습니다. 약먹는 일도 귀찮은데 챗봇 서비스에 들어가서 터치를 몇번 더 해서 복약을 기록하는 건 당연히 귀찮으리라 예상합니다.

개선 방향성 1)

위젯 활용을 생각해보았습니다. 이 서비스가 카카오톡이 아니라 자체 앱으로 가게된다면 위젯 활용을 해서 복약 기록을 훨씬 편리해지도록 바꿀 수 있을 것 같습니다. 앱에 진입하지 않은 채로 배경화면에서 복약 기록이 가능하도록이요.

개선 방향성 2)

(금전적 부분에서 가능할지는 모르겠습니다만) 환자가 약을 복용할때 발생하는 행동과 관계되는 IoT 개발이 있습니다. 약 먹을 때 사용하는 물컵이라든가.. 당장은 생각이 안나지만, 핸드폰을 켜고 기록하지 않아도, 약먹을 때 무언가가 연계되어 자동으로 기록된다면 그런 방법이 가장 편리할 것 같습니다.

환지 이탈률 최소화를 위한 두번째 이슈: 어떻게 라포를 형성할 것인가?

이 챗봇 서비스를 사용하게끔 하는 ‘trigger’가 되는 일이 무엇일지 고민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. 원래의 의도였다면 ‘결핵 정보의 쉬운 탐색’이 진입 요인이겠지만, 장기적으로는 정보의 탐색은 인공지능이 도와준다는 걸 생각한다면, 새로운 요인 발견이 필요해 보입니다. 그 트리거를 바탕으로 챗봇-환자간 신뢰관계(라포)를 어떻게 형성할지가 중요한 문제라는 생각이 듭니다. ‘단순히 병원에서 써보라고 하니까 쓰는 서비스’가 아니라, 환자가 정말 본인이 좋아서 이 챗봇을 쓰게 하려면 어떤 요인이 필요할지 궁금합니다.